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정보

청년도약계좌 월 70만원, 5년뒤 5000만원 목돈. 가입조건 충족하는지 알아보세요.

by 찌도 2023. 1. 13.

 올 6월 윤석열 정부가 출시하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려 들리게요.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확정된 건 아니지만 현재까지 보도된 자료들을 종합하여 정리해 봤습니다. 5년 동안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율에 따라 얻게 되는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며, 우리가 납입하는 금액 외에 정부가 추가로 금액을 지원해 줄 뿐 만 아니라,  5년 동안 월납입 최대한도인 70만 원을 납입할 시에 5년 뒤에는 5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니 조건만 충족된다면 꼭 가입해야겠죠?

 

가입 조건은?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만 19세 ~ 34세 청년

만 19세 ~ 34세 청년이시라면 가입 가능합니다. 또한 남성의 경우 군에서 보낸 시간은 연령 계산에서 빼주기 때문에 만 34세가 넘으셨더라도 본인의 병역 이행기간을 잘 계산하셔서 가입이 가능한지 알아보셔야 합니다.

 

  • 개인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개인 연소득은 전년도 6천만 원 이하이면 되며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라면 가입 가능합니다. 가구 중위소득 180%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가구원수 중위소득 180%
1인 3,740,206 원
2인 6,221,079 원
3인 7,982,669 원
4인 9,721,735 원
5인 11,395,238 원
6인 13,010,366 원 

가구원수 계산하는 방법은 주민등록등본상에 기재되어 있는 본인의 직계존비속, 형제, 자매 해당입니다.

ex) 3인가구에서 가구원 월 소득을 합친 금액이 7,982,669 원보다 작다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무직자는 신청 불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 소개

 

  • 월 납입금은 40만 원~70만 원
  • 정부 지원금은 최대 6% 

예를 들어 70만 원을 매달 납입한다고 하면 12개월 (1년)에 840만 원이고, 정부지원금을 6% (840만 X 6%) 받는다고 했을 때 원금이 1년에 840만 원 + 50만 4천 원 = 890만 4천 원이네요. 이걸 5년으로 계산하면 원금만 44,520,000원이네요. 아직 이자율이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정부에서 홍보하고 있는 5천만 원을 넘기려면 이자율이 5% 이상으로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적금 이자율에 따라 얻은 이자소득은 비과세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적금 이자율이지만 그로 인해 얻은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가입할 만한 메리트가 있는가?

70만 원을 5년 (60개월) 동안 계좌에 묵혀둔다면 4200만 원입니다. (예금이자나 여러 변수들은 제외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정부에서 출시하는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한다면 5000만 원이 넘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으니 본인이 5년 동안 높은 수익률로 5000만 원 이상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아이디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충분히 이용할 만한 가치가 있어 보입니다. 

추후 상품에 대한 정보가 확정된다면 다시 한번 더 포스팅을 통해 알려드릴게요.

댓글